![[AWS] EC2 인스턴스 자동 중지 및 시작하기 - Quick Setup 활용](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6U4xA%2FbtsKVsDrHDt%2FbZT9vdnfPxV8jLUbGiYdA0%2Fimg.png)
AWS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비용 관리입니다.많은 사용자가 활용하는 EC2 인스턴스는 중지되면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데요. 이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 자동화하는 것을 다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AWS EC2는 온디맨드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온디맨드 요금제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인데요. (자료: EC2 요금제)인스턴스가 중지되면 인스턴스에 대한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물론 함께 사용하는 Elastic IP, 볼륨 스토리지 등에 대한 비용은 계속 청구됩니다.사용하지 않을 때 인스턴스를 중지시키면 운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사람이 일일이 하다 보면 까먹기 마련이지요. 인스턴스의 개수가 많아지면 24시간 돌아야 하는 인스턴스도 만들어지기도..
![[Spring] JPA, RDS, MySQL 연동 시 연결 안됨-CommunicationsException](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Q1TCu%2FbtrypiOBKoa%2FOhHPlxMX38jaE3qgpkyGt1%2Fimg.png)
상황 현재, Spring으로 API 서버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카카오 API를 사용해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개발 환경은 IntelliJ IDE에서 Spring boot +JPA(Hibernate) + MySQL을 사용하고 있으며, 프론트와 연결하기 위해서 AWS의 EC2 인스턴스와 RDS를 띄워놓았습니다. 분명히, 어제 저녁까지만 해도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깃허브에 푸시까지 했습니다. 오늘 다시 서버를 동작시키니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아무것도 안했는데 에러가 발생한 것은 처음이라서 무척 당황했습니다. AWS의 EC2 인스턴스, RDS 인스턴스가 모두 사라진 경우 연결이 안되니, 인스턴스가 중지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AWS에 접속하였습니다. 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