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인스턴스 자동 중지 및 시작하기 - Lambda 함수 활용
클라우드2024.12.07 14:36[AWS] EC2 인스턴스 자동 중지 및 시작하기 - Lambda 함수 활용

AWS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비용 관리입니다.많은 사용자가 활용하는 EC2 인스턴스는 중지되면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데요.이전 게시글에서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중지하는 것을 Quick Setup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도입부는 중복된 내용이니, 구현 방식을 확인하실 분은 ''개발 과정''으로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AWS EC2는 온디맨드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온디맨드 요금제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인데요. (자료: EC2 요금제)인스턴스가 중지되면 인스턴스에 대한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물론 함께 사용하는 Elastic IP, 볼륨 스토리지 등에 대한 비용은 계속 청구됩니다.사용하지 않을 때 인스턴스를 중지시키면 운영 비용을 최소화..

[AWS] EC2 인스턴스 자동 중지 및 시작하기 - Quick Setup 활용
클라우드2024.11.23 20:55[AWS] EC2 인스턴스 자동 중지 및 시작하기 - Quick Setup 활용

AWS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비용 관리입니다.많은 사용자가 활용하는 EC2 인스턴스는 중지되면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데요. 이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 자동화하는 것을 다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AWS EC2는 온디맨드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온디맨드 요금제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인데요. (자료: EC2 요금제)인스턴스가 중지되면 인스턴스에 대한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물론 함께 사용하는 Elastic IP, 볼륨 스토리지 등에 대한 비용은 계속 청구됩니다.사용하지 않을 때 인스턴스를 중지시키면 운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사람이 일일이 하다 보면 까먹기 마련이지요. 인스턴스의 개수가 많아지면 24시간 돌아야 하는 인스턴스도 만들어지기도..

[네트워크] IP 주소 체계, 클래스와 CIDR 표기법
네트워크2024.10.28 22:45[네트워크] IP 주소 체계, 클래스와 CIDR 표기법

이전 게시글에서 IP와 관련한 내용을 톺아보았습니다. [네트워크] IP(Internet Protocol)와 관련된 것들 톺아보기목표OSI 7 계층에서, 3 계층인 Network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에 대해서 톺아보겠습니다.전체적인 구조와 흐름을 복습할 예정입니다. 개요통신을 위해서는 많은 절차와 작업이chanos.tistory.com이번 게시글에서는 IP 주소 체계에 대해서 정리해 볼 텐데요. 보통 IP 주소라고 하면 192.168.10.2와 같은 32비트 형식을 생각하는데요. 알게 모르게 192.168.10.2/32와 같은 형식도 많이 접했을 것입니다.처음엔 조금 낯설지만 익숙해지면 어떤 네트워크에 속한 주소인지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특수 목적을 가진 I..

[네트워크] IP(Internet Protocol)와 관련된 것들 톺아보기
네트워크2023.09.16 22:28[네트워크] IP(Internet Protocol)와 관련된 것들 톺아보기

목표OSI 7 계층에서, 3 계층인 Network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에 대해서 톺아보겠습니다.전체적인 구조와 흐름을 복습할 예정입니다. 개요통신을 위해서는 많은 절차와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에,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는 7 단계로 나눴고, 다들 잘 알고 계실 OSI 7 계층입니다.복잡한 통신 과정과 흐름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비교적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다른 계층에서 어떤 작업을 하는지 신경 쓸 필요 없이 내가 맡은 일만 잘 해내면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7 계층 중, 3 계층인 Network 계층을 중심으로 확인하려고 합니다.Network 계층의 목적을 간략히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데이터를 적당한 크기로..

[NEMODU] 메인 화면 조회 API 개선하기
NEMODU2023.04.10 17:57[NEMODU] 메인 화면 조회 API 개선하기

목표 메인 화면 조회 API를 개선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개요 처음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동아리 활동 기간인 2달에 맞춰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기간을 맞추는 것을 우선순위로 진행하면서, 기술 부채가 쌓이고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메인 화면을 조회하는 로직입니다. 메인 화면은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하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본인을 포함한 친구, 챌린지 멤버들의 운동 기록과 더불어 기록한 영역 수 등 많은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핵심 기능입니다. 역할을 분배하면서, 해당 기능은 팀원이 담당했었습니다. 이제 백엔드 개발을 혼자 진행하고 있어, 코드 분석부터 문제 해결까지 진행했습니다. 요약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기 전에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성능 개선을 위해 두 가지 측..

[MySQL] MySQL 동시성 처리(2) - 트랜잭션의 고립성 보장을 위한 격리 수준과 MVCC
MySQL2023.03.19 20:53[MySQL] MySQL 동시성 처리(2) - 트랜잭션의 고립성 보장을 위한 격리 수준과 MVCC

목표 MySQL의 동시성 처리를 위한 격리 수준과 MVCC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 DB의 Lock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MySQL] MySQL 동시성 처리(1) - LOCK 목표 MySQL의 동시성 처리를 위한 Loc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포를 앞에 두고 가장 큰 관심사는 동시성 처리입니다.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동시 요청이 많 chanos.tistory.com 이어서 트랜잭션의 고립성 보장을 위한 격리 수준과 MVCC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랜잭션 격리 수준 트랜잭션은 작업 단위를 뜻합니다. DB의 값을 업데이트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작업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작업 단위를 지정하는 이유는 트랜잭션이 ACID를 보장..

[MySQL] MySQL 동시성 처리(1) - LOCK
MySQL2023.03.14 13:30[MySQL] MySQL 동시성 처리(1) - LOCK

목표 MySQL의 동시성 처리를 위한 Loc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배포를 앞에 두고 가장 큰 관심사는 동시성 처리입니다.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동시 요청이 많아질 것입니다. 현재 백엔드는 Spring boot로 구성되어 요청마다 스레드가 할당됩니다. 이 말은 즉, 여러 스레드가 한 DB에 동시에 요청을 보낸다는 뜻입니다. DB에 여러 요청에 동시에 들어왔을 때,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데이터 정합성을 보장하기 위한 Loc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Lock의 설정 범위 Lock(락)은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처리될 때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한 트랜잭션이 처리되..

[Spring] 내가 ~Service, ServiceImpl로 분리하는 이유
Spring & Spring boot2023.03.01 12:34[Spring] 내가 ~Service, ServiceImpl로 분리하는 이유

목표 서비스 계층을 개발할 때 ~Service, ~ServiceImpl로 나누는 이유에 대해서 기술합니다. 개요 저는 Spring 기반의 백엔드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구현할 때 항상 ~Service, ~ServiceImpl과 같이 인터페이스와 구현체로 분리해서 개발했습니다. 처음에는 이렇게 배웠기 때문에 따라 했고, 경험이 쌓이면서 왜 이렇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이고, 상황에 따라 의견이 분분한 문제이므로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가 프로젝트에서 이렇게 적용할 때는 그만한 근거가 필요하고, 저는 분리해서 개발하는 게 합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막상 면접 자리에서 '왜 이렇게 구현했는가?'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DI? 확장..

[MySQL] UUID의 개념과 성능 개선 결과
NEMODU2023.02.22 13:17[MySQL] UUID의 개념과 성능 개선 결과

목표MySQL에서 UUID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해 보기 위한 노력 과정을 기술합니다. 개요관계형 DB에서 데이터(튜플)을 식별하기 위해 PK(Primary Key, 기본키)를 사용합니다.하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PK를 주고받는 것은 보안적인 측면에서 위험합니다.만약 다음과 같은 URL이 있다면 어떨까요?http://www.domain.com/user/info?userid=1파라미터로 들어가는 userid의 값만 바꿔도, 다른 사람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예측가능한 모델이 되어 SQL Injection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PK값을 그대로 넘겨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따라서, 고유값을 갖는 특정 값으로 데이터를 식별할 필요..

[JAVA] 정규표현식으로 문제 해결하기
JAVA2022.12.10 21:38[JAVA] 정규표현식으로 문제 해결하기

목표 정규 표현식으로 문제 해결하기: 블로그 테마 변경 중 발생한 대참사 문제 발생 개요 인턴을 진행하면서 한동안 블로그에 소홀했습니다. 쌓여있던 소재들을 다듬어 블로그에 작성하려고 합니다. 그간 수많은 블로그를 보면서 많은 것들을 느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블로그는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좋게 작성해야 한다는겁니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디자인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조잡하게 꾸며놓은 것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테마가 훨씬 보기 편했고, 확실히 다크 테마가 눈이 편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VELOG가 읽기 편하더라구요. 마크다운으로 작성된 문서는 읽기도 편하고 필요한 정보가 어디 있을지 예상이가는 것도 좋았던 것 같습니다. 티스토리 스킨을 찾아보던 중, VELOG와 유사한 정상우님의..

[인공지능 챗봇] Dialogflow로 인공지능 챗봇 구현하기 - (1)
[인공지능 챗봇] Dialogflow로 인공지능 챗봇 구현하기 - (1)
목표 작성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Dialogflow를 이용해서 인공지능 챗봇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 지식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초기 환경 설정 Intent(의도) Entity(개체 정보) Training Phrases(문장 학습) Fullfillment Integration 정리 개요 콘도 예약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인공지능 챗봇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구현할지 시나리오를 작성했습니다.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하는 것을 도와주는 챗봇 빌더는 IBM 왓슨, Chatfuel, Dialogflow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IBM 왓슨은 고성능이지만 유료이고, Chatfuel은 간단하지만 한글을 지원하..
[GIT] git pull 시 merge 오류 발생했을 때 강제로 덮어쓰는 방법, git fetch, reset, pull
[GIT] git pull 시 merge 오류 발생했을 때 강제로 덮어쓰는 방법, git fetch, reset, pull
GIT & GITHUB
2021.11.24 17:46
상황1. 캡스톤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면서 AWS EC2 서버를 이용해 API 서버를 배포하는 중이다.2. Github를 통해 변경된 코드를 서버에 옮기고 있다.3. 이전에 있던 코드와 충돌이 발생하면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git fetch 명령어를 통해서 커밋을 가져온 후, merge하면 해결할 수 있다.하지만, Github에서 가져오려는 코드가 어떤 것인지, 이전 코드와 어떻게 다른지 확실히 알고 있기 때문에 이전 코드와 상관없이 Github에 있는 코드를 pull 명령어를 통해서 강제로 덮어씌우고 싶다. 2025-01-22 Updated학생 때 진행한 사이드 프로젝트라 이런 결정을 했지만, 지금은 절대 안할 선택인 것 같습니다.개발 전 최신 버전으로 pull을 습관화하고, 브랜치를 적절히 ..
[자료구조] 스택 예제, 중위 표기(infix)를 후위 표기(postfix)로 변환하기
[자료구조] 스택 예제, 중위 표기(infix)를 후위 표기(postfix)로 변환하기
자료구조
2021.08.16 16:28
목표 스택을 활용해서 중위 표기법으로 입력한 연산을 후위 표기법으로 변환해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수식 표기법 스택 예제 : 중위 표기법을 후위 표기법으로 변환하여 계산하는 계산기 정리 개요 저번 포스팅에서 스택에 대해서 복습했습니다.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구조를 갖는 자료구조입니다. 마치 접시와 같이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맨 처음 나오는 구조로, 파이썬의 클래스를 활용해서 구현했습니다. 클래스 안에 멤버 리스트를 생성해서 append, pop 함수로 스택을 만들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택을 활용해서 중위 표기(infix)로 입력된 수식을 후위 표기(postfix)로 바꾸고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도록..
[자료구조] 피보나치 수열의 시간 복잡도 완벽히 이해하기
[자료구조] 피보나치 수열의 시간 복잡도 완벽히 이해하기
자료구조
2021.08.03 11:42
목표 피보나치 수열의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에 대해서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피보나치(Fibonacci) 수열이란? 피보나치 수열을 구하는 알고리즘 피보나치 수열 개선하기 피보나치 수열 알고리즘을 통한 시간 복잡도 심화 정리 개요 앞선 포스팅에서 시간 복잡도와 BIG-O 표기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피보나치 수열의 시간 복잡도를 BIG-O 표기법으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피보나치(Fibonacci) 수열이란? 우선, 피보나치 수열이란 첫째 항, 둘째 항이 1이고 그 뒤의 항은 바로 앞의 두 항의 합인 수열을 뜻합니다. 말로 하면 조금 복잡해보이는데요. 직접 예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F(n)..
[MySQL] UUID의 개념과 성능 개선 결과
[MySQL] UUID의 개념과 성능 개선 결과
NEMODU
2023.02.22 13:17
목표MySQL에서 UUID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해 보기 위한 노력 과정을 기술합니다. 개요관계형 DB에서 데이터(튜플)을 식별하기 위해 PK(Primary Key, 기본키)를 사용합니다.하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PK를 주고받는 것은 보안적인 측면에서 위험합니다.만약 다음과 같은 URL이 있다면 어떨까요?http://www.domain.com/user/info?userid=1파라미터로 들어가는 userid의 값만 바꿔도, 다른 사람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이처럼 예측가능한 모델이 되어 SQL Injection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PK값을 그대로 넘겨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따라서, 고유값을 갖는 특정 값으로 데이터를 식별할 필요..
[Docker] 도커 에러
[Docker] 도커 에러 "Error response from daemon: manifest for ..." 해결법
Docker
2021.09.04 20:09
목표 이미지를 pull 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의 해결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에러 발생 상황 하이퍼레저(hyperledger)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이미지를 가져와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Document에 다음과 같이 적혀있었습니다. Downloads the latest Hyperledger Fabric Docker images and tags them as latest 도커 허브에서 검색해본 결과, hyperledger/fabric-peer 가 존재함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해 이미지를 가져오려 시도했습니다. docker pull hyperledger/fabric-peer:latest Document에 적혀있는 대로 latest 태그를 사용했지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
[Windows API] API, MFC란, 윈도우 프로그래밍 동작 방식
[Windows API] API, MFC란, 윈도우 프로그래밍 동작 방식
Win32 API Programming
2021.09.28 14:51
목표 Window API를 사용하기 위한 기초 배경을 쌓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API와 MFC 윈도우 프로그래밍 동작 방식 정리 개요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이라는 수업을 듣게 되어 학습 과정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대학교에 진학해서 제일 먼저 배운 것이 C언어였습니다. 과제 제출과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어휘 분석기 등 이론적인 내용을 만들어 본 적이 있지만, 제가 만들고 싶었던 프로그램들은 만들어 본 적이 없습니다. 제가 구상하는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GUI 기반이거나 웹, 앱 등의 환경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고, C언어보다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언어들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효율적이라는 말은 조금 모호합니다. 제 지식이 짧았을 수도 있고, 단순히 Python과 ..
[인공지능 챗봇] 인공지능 챗봇 시나리오 작성, Decision tree란
[인공지능 챗봇] 인공지능 챗봇 시나리오 작성, Decision tree란
목표 콘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시나리오를 작성하겠습니다. 목차 누르면 각 챕터로 이동합니다. Decision Tree(결정 트리)란? 시나리오 작성 마치며.. 들어가는 말 이전 포스팅까지 인공지능 챗봇의 정의, 종류, 특징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인공지능 챗봇 중 시나리오형 챗봇을 채택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챗봇을 설계하기 전에 시나리오를 먼저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시나리오를 작성할 때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사용자)의 입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챗봇의 입장으로 나눠서 작성했습니다. 이 시나리오를 Decision tree를 사용해서 나타내 보도록 하겠습니다. Decision Tree(결정 트리)란? Decision tree(결정 트리)는..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