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API] Win32 API에서 비트맵 출력하기
개발/Win32 API Programming2022. 4. 21. 18:41[Windows API] Win32 API에서 비트맵 출력하기

목표 Win32 API 환경에서 비트맵을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1. 비트맵(Bitmap) 2. 비트맵 출력하기 정리 개요 앞선 포스팅에서 그래픽을 그리기 위한 스톡 오브젝트를 배웠습니다. 스톡 오브젝트의 대표적인 예로 펜, 브러시 등이 있었는데요. 간단한 선, 도형을 그리는 것은 어렵지 않지만, 높은 퀄리티의 도형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미리 그려져 있는 그래픽을 불러오는 방법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미리 작성되어 있는 비트맵을 출력하는 것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트맵(Bitmap) 비트맵은 아이콘, 그림, 사진 등과 같이 디지털 이미지를 어떠한 형식을 가지고 저장된 리소스를 뜻합니다. 어떠한 형식, 즉 특정 포..

[Spring] JPA, RDS, MySQL 연동 시 연결 안됨-CommunicationsException
개발/Spring & Spring boot2022. 4. 4. 19:49[Spring] JPA, RDS, MySQL 연동 시 연결 안됨-CommunicationsException

상황 현재, Spring으로 API 서버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카카오 API를 사용해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개발 환경은 IntelliJ IDE에서 Spring boot +JPA(Hibernate) + MySQL을 사용하고 있으며, 프론트와 연결하기 위해서 AWS의 EC2 인스턴스와 RDS를 띄워놓았습니다. 분명히, 어제 저녁까지만 해도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깃허브에 푸시까지 했습니다. 오늘 다시 서버를 동작시키니 접속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아무것도 안했는데 에러가 발생한 것은 처음이라서 무척 당황했습니다. AWS의 EC2 인스턴스, RDS 인스턴스가 모두 사라진 경우 연결이 안되니, 인스턴스가 중지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AWS에 접속하였습니다. 접..

[JAVA]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의 클래스와 객체 그리고 인스턴스
개발/JAVA2022. 3. 16. 23:01[JAVA] 객체지향프로그래밍(OOP)의 클래스와 객체 그리고 인스턴스

목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와 클래스와 객체 그리고 인스턴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1. 클래스와 객체 그리고 인스턴스 2. OOP특징(1) - 상속 3. OOP특징(2) - 다형성 4. OOP특징(3) - 추상화 5. OOP특징(4) - 캡슐화 정리(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개요 자바는 흔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ejct-Oriented Programming, OOP)라고 합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실생활에 존재하는 것들 사이의 관계를 매핑하여 컴퓨터에 구현하고자 하는 뜻에서 개발된 것입니다. 컴퓨터에 구현하기 위해 클래스를 이용해 연관 있는 기능(메소드)와 데이터(변수)를 하나의 객체로 묶어서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

[Windows API] Win32 API의 그리기 모드와 ROP2 모드, 선 그리기
개발/Win32 API Programming2022. 2. 15. 01:01[Windows API] Win32 API의 그리기 모드와 ROP2 모드, 선 그리기

목표 Win32 API에서 제공하는 그리기 모드와 RopMod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1. Win32 API의 그리기 모드 2. RopMode를 활용해 선 그리기 정리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 GDI 오브젝트 중 하나인 펜과 브러쉬를 활용해 도형을 그리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리기 모드와 RopMode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Win32 API를 활용해서 만든 프로그램의 모션은 조금 어색합니다. 최근 컴퓨터의 처리 능력이 높아져서 덜하지만, 버벅이거나 끊기는 듯한 느낌은 어쩔수 없이 들게 됩니다.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RopMode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RopMode를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도 있습니다...

[Windows API] Win32 API의 펜과 브러쉬, Old의 의미
개발/Win32 API Programming2022. 2. 8. 19:38[Windows API] Win32 API의 펜과 브러쉬, Old의 의미

목표 펜과 브러쉬를 활용해 화면에 도형을 출력해보고, Old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1. 펜(Pen) 2. 브러쉬(Brush) 3. Old의 의미 정리 개요 저번 포스팅에서 GDI, DC 등 그래픽 출력을 위한 기본적인 이론과 스톡 오브젝트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Windows API] Win32 API의 그래픽, GDI와 스톡 오브젝트(Stock Object) 이번 포스팅에선 펜과 브러쉬를 활용해 화면에 도형을 출력하는 실습을 진행할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GDI 오브젝트를 만들어 사용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펜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HPEN MyPen, OldPen; // 1.핸들을 선언한다. MyPen = CreatePen..

[Windows API] Win32 API의 그래픽, GDI와 스톡 오브젝트(Stock Object)
개발/Win32 API Programming2022. 2. 8. 15:22[Windows API] Win32 API의 그래픽, GDI와 스톡 오브젝트(Stock Object)

목표 Win32 API를 활용해 윈도우에 도형, 비트맵 등을 출력하고 ROP2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GDI, DC의 개념과 스톡 오브젝트(Stock Object)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1. GDI, GDI 오브젝트, DC의 개념 2. 스톡 오브젝트 활용과 색상 정리 개요 GDI(Graphic Devcie Interface)와 DC(Device Context)는 이전 포스팅에서 꾸준히 다뤄온 친구들입니다. 다시 한 번 복습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 API] Device Context란?, Win32 API를 활용해 문자열 출력하기 1. GDI, GDI 오브젝트, DC의 개념 GDI는 화면, 프린터와 같은 모든 출력 ..

[Windows API] Win32 API를 활용해 작업 영역 얻기
개발/Win32 API Programming2022. 1. 27. 19:46[Windows API] Win32 API를 활용해 작업 영역 얻기

목표 Win32 API를 활용해 작업 영역의 크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1. 작업 영역(Client Area) 2. GetClientRect 함수를 통해 작업 영역 얻기 정리 개요 기존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윈도우의 크기를 변경하면 사이즈는 바뀌지만, 내용은 그대로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이즈를 줄이면 내용이 안보이는 상황입니다. 대부분의 웹사이트를 접속하면 브라우저의 크기를 변경하면 크기에 맞게 내용이 이동하는 것을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크기가 바뀌어도 사용자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반응형 웹사이트로 만든 것입니다. Win32 API로 만든 윈도우도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1. 작업 영역(Client Area) 우선 작업 영..

[Windows API] Win32 API의 백그라운드 작업과 콜백 함수
개발/Win32 API Programming2022. 1. 20. 01:16[Windows API] Win32 API의 백그라운드 작업과 콜백 함수

목표 Windows API를 활용해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고, 콜백 함수에 대해서 이해하고 실습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클릭하면 해당 목차로 이동합니다. 백그라운드 작업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 정리 개요 이전 포스팅에서 타이머에 대한 내용을 다뤘습니다. 타이머를 활용해서 백그라운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이머는 윈도우 프로시저 내에서 WM_TIMER 메세지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활용했습니다. 작은 프로그램에선 상관이 없지만, 프로그램의 크기가 커진다면 윈도우 프로시저 내에서 모든 것을 처리한다면 복잡성이 올라가고 가독성도 떨어질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타이머를 활용해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는 것과 콜백 함수를 통해서 타이머를 처리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

image